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 온실가스 ‘첫 7억 톤 이하’ 돌파, 숨겨진 비밀은?

by 오늘 우리는 2025. 8. 20.
반응형

한국 온실가스 배출량 7억 톤 붕괴, 그 배경과 향후 과제

한국 온실가스 배출량 7억 톤 붕괴, 그 배경과 향후 과제


경기 침체와 에너지 전환이 만든 배출 감소, 그러나 앞으로가 더 중요하다

최근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6억9158만 톤으로 집계되며 2010년 이후 처음으로 7억 톤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경기 둔화로 인한 산업 생산 감소와 석탄 발전 축소, 원자력 및 재생에너지 확대가 주요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으며, 기후 조건과 정부 정책도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러나 산업 부문의 탈탄소 전환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어 향후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고강도 노력이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경기 둔화가 만든 불황형 배출 감소


2024년 산업 전반의 가동률이 71.9%로 낮아지며 석유화학, 철강, 시멘트 산업의 배출량이 줄었습니다.

이는 경기 침체로 인한 불황형 감축으로, 구조적 변화가 아니라는 점에서
장기적 감축 효과로 보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에너지 구조의 눈에 띄는 변화


지난해 원자력 발전량이 석탄 발전을 추월하며 온실가스 배출 감소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재생에너지 비중 역시 확대되며 전력 부문의 저탄소 전환이 가속화되었습니다.

에너지원 발전 비중 변화
석탄 감소
원자력 증가
재생에너지 증가





정부 정책과 탄소중립 계획의 영향


국가 차원에서 추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온실가스 감축 정책들이 일정 부분 효과를 냈습니다.

다만 산업 부문의 구조적 전환은 여전히 지연되고 있어 부문별 편차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기후 조건이 만든 일시적 감소 효과


2024년 가을과 겨울이 평년보다 따뜻해 난방 수요가 크게 줄었습니다.
이로 인해 에너지 소비량이 낮아졌고 결과적으로 배출량 감소에 기여했습니다.



배출량 추이와 현황


2024년 기준 배출량은 6억9158만 톤으로 14년 만에 7억 톤을 밑돌았습니다.
이는 2018년 대비 일부 감축된 수치이지만 목표 달성에는 여전히 부족한 수준입니다.

연도 배출량(억 톤) 특징
2018 약 7.26 기준연도
2024 6.92 7억 톤 첫 붕괴
2030 목표 4.36 2018 대비 40% 감축





앞으로 필요한 감축률


2030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매년 3.6% 이상의 감축률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는 경기 둔화가 아닌 구조적 감축이 반드시 동반되어야 가능한 수치입니다.



산업 부문이 안고 있는 과제


제조업은 여전히 고배출 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특히 탈탄소 공정 전환 속도가 늦어지면서 산업 배출은 일부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장기적 감축 목표 달성의 가장 큰 걸림돌로 지적됩니다.



지속 가능한 감축을 위한 방향


향후에는 재생에너지 확대, 원자력 안정적 활용, 산업 공정의 탈탄소화,
에너지 효율 향상 등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경기 침체가 아닌 기술혁신과
구조적 전환을 통해 감축을 이루는 것이 핵심 과제라 할 수 있습니다.




#온실가스배출량 #에너지전환 #탄소중립 #기후변화 #산업구조 #재생에너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