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북대 수의대생 실종 19년, 동기 등신대 훼손 사건 충격

by 오늘 우리는 2025. 8. 19.
반응형


왜 이윤희 씨 실종 사건의 상징물이 훼손되었을까?

SBS 뉴스 사진캡쳐
2006년 새벽, 전북대학교 수의학과에 재학 중이던 이윤희 씨가 종강 모임 후 자취방으로 돌아간 뒤 실종된 사건은 여전히 미제로 남아 있습니다.

그 가족들은 19년 동안 진실을 알리기 위해 등신대를 세워왔는데, 2025년 5월 이 등신대가 학과 동기에 의해 훼손되며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경찰은 해당 남성을 재물손괴 혐의로 검찰에 송치했으며, 실종 사건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이윤희 씨 실종 사건의 시작


2006년 6월 6일, 이윤희 씨는 전북대 수의학과 종강 모임을 마치고 자취방으로 돌아온 후 행방이 묘연해졌습니다. 휴대전화 사용 기록이 끊기고 목격자 증언도 없어 가족과 지인들은 극심한 충격에 빠졌습니다.

경찰 수사는 이어졌지만 명확한 단서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가족들의 끝없는 기다림과 등신대 설치


가족들은 사람들의 기억에서 이 사건이 잊히는 것을 막기 위해 실제 키와 비슷한 등신대를 설치했습니다.

이 등신대는 단순한 사진이 아니라 “그녀가 여전히 기다리고 있다”는 메시지였습니다. 19년간 이어진 이 가족의 노력은 실종자의 존재를 사회에 알리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습니다.



40대 동기, 등신대 훼손 사건의 전말


2025년 5월 8일, 한 남성이 마스크와 수술용 장갑을 착용한 채 등신대를 넘어뜨리고 커터칼로 부수는 행위를 벌였습니다.

이 남성은 바로 이윤희 씨와 같은 과에서 공부했던 동기 A 씨였습니다. 그는 “자신을 범인으로 몰아가는 시선에 분노했다”고 진술했습니다.



경찰 수사 결과와 혐의


경찰은 CCTV를 통해 A 씨를 특정했고, 재물손괴 혐의로 검찰에 송치했습니다.

그러나 경찰은 “실종 사건과 훼손 사건 사이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실종 사건의 진상 규명과는 별개로, 단순한 재산 훼손 사건으로 수사가 마무리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A 씨의 심리 상태와 진술


경찰 조사에서 A 씨는 과거 사건으로 인해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아왔음을 호소했습니다.


그는 자신이 억울하게 범인 취급을 받았다고 주장했으며, 이러한 심리적 압박이 등신대 훼손이라는 극단적인 행동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여전히 남아 있는 의문들


사건은 단순한 재물손괴로 끝났지만, 많은 이들은 왜 하필 동기였던 A 씨가 등신대를 훼손했는지 의문을 품습니다.

단순한 분노의 표출인지, 아니면 실종 사건과 간접적으로라도 연결되는 심리적 배경이 있는지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실종 사건의 사회적 파장


이윤희 씨의 실종 사건은 단순히 한 개인의 부재가 아니라, 가족과 지역 사회가 겪는 아픔을 드러냅니다.

시간이 흘러도 해결되지 않는 미제 사건은 여전히 큰 상처로 남아 있으며, 이번 등신대 훼손 사건은 그 고통을 다시금 드러낸 계기가 되었습니다.



앞으로의 과제와 사회적 관심


이 사건은 미제 실종 사건이 단순히 시간에 묻히지 않도록 사회적 관심이 필요함을 보여줍니다.

경찰과 사회는 사건의 진실 규명뿐 아니라, 억울함을 호소하는 이들에 대한 심리적 지원 역시 놓치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이윤희실종사건 #전북대실종 #등신대훼손 #재물손괴사건 #미제사건 #실종사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