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광복절 특사 포함된 윤미향, 후원금 횡령 논란 재점화

by 오늘 우리는 2025. 8. 9.
반응형


대법원 유죄 확정 9개월 만의 사면, 사회적 파장은?

다음(연합뉴스 사진)
윤미향 전 의원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후원금 횡령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지 불과 9개월 만에 광복절 특별사면 명단에 포함되며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2024년 11월 대법원에서 징역 1년 6개월, 집행유예 3년이 확정된 이후 이번 사면 결정은 정치권과 시민사회 전반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윤미향의 정치 입문과 정의기억연대 활동


윤미향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 단체인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으로
오랜 기간 활동하며 후원금을 모금했습니다.

2020년 4월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로 국회에 입성하며 정치권에 데뷔했습니다.
하지만 활동의 명성과 달리 후원금 횡령 의혹이 불거지며 논란이 시작됐습니다.



법원 판결로 드러난 횡령 혐의


재판 과정에서 윤미향은

약 8천만 원의 위안부 피해자 후원금과
피해 할머니 장례비 약 1억 3천만 원을 개인 계좌로 모금한 혐의가 인정됐습니다.

이에 2024년 11월 대법원은 징역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했습니다.



2025년 광복절 특사 명단 포함


사면 결정은 확정 판결 후 9개월 만에 이뤄졌습니다.

이는 국가 기념일을 기해 전·현직 정치인들이 사면되는
관행 속에서도 이례적인 속도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사회적으로 민감한 사건이었기에 파장이 컸습니다.



정치권과 시민사회의 반응


국민의힘은위안부 할머니들을 상대로 한 횡령 범죄에 면죄부”라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여당 내부에서도굳이 포함할 필요가 있었느냐”는
비판적인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윤미향의 입장과 발언


윤미향은 자신을 둘러싼 판결이 억지라고 주장하며
제 할 일을 계속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또한 비판 여론에 대해 “저를 욕하는 것들이 참 불쌍하다”는
발언으로 다시금 여론의 도마에 올랐습니다.



사면 제도의 사회적 논의


이번 사례는 사면 제도의 필요성과 한계를 동시에 드러냈습니다.
사면이 국가 통합의 도구가 될 수 있지만,
동시에 사회적 정의 실현과 충돌할 위험성도 존재합니다.



사건의 향후 전망

향후 윤미향이 정치 활동을 재개할지 여부,
그리고 피해자 및 시민단체와의 관계 회복 가능성이
정치권의 새로운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관련 사건 비교 표

사건 주요 쟁점 판결 사면 여부
윤미향 후원금 횡령
위안부 피해자 후원금 사적 사용 징역 1년 6개월, 집행유예 3년 2025 광복절 특사
타 정치인 정치자금법 위반
불법 정치자금 수수 벌금형~징역형 경우에 따라 사면





윤미향 사안의 핵심 정리 표

구분 내용
사건 발생 시기 2020년 의혹 제기, 2024년 대법원 확정
혐의 내용 후원금 8천만 원, 장례비 1억 3천만 원 횡령
사면 시점 판결 확정 9개월 후 2025년 광복절
사회 반응 정치권·시민단체 비판, 본인 억울함 호소


#윤미향 #광복절특사 #후원금횡령 #위안부피해자 #정치권논란 #사면논란

반응형